가계부채 증가율 2% 이내 잡아야 명목GDP 대비 100% 이하 가능성
지난해 100% 소폭 넘어서
올 명목GDP 3% 안팎 늘듯
금융지주 "2% 이내 대출"
우리나라 가계부채 규모는 명목GDP 대비 지난해 3분기 기준 100.5% 수준인 것으로 추산됐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가계부채 잔액은 지난해 3분기 기준 2237조3476억원에 이른다. 가계부채는 2022년 4분기(2260조801억원) 최고치를 보인후 지난해 1분기(2206조805억원) 크게 줄었지만, 특례보금자리론 등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나면서 급증했다.
지난해 명목GDP는 아직 공식 집계되지 않았지만 한은이 최근 발표한 2023년 실질GDP 성장률(1.4%)과 GDP디플레이터(1.6%안팎 추정) 등을 고려하면 2227조1000억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명목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100.5%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에 앞서 국제금융협회(IIF)는 지난해 12월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작년 3분기 기준 100.2%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4분기 이후 늘어난 주담대 등을 고려할 때 연말 가계부채 비중은 100.8% 안팎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이 비중을 명목GDP 규모 아래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부채 잔액을 줄이는 게 필요하다. 지난해 1분기(2206조805억원) 부채 잔액이 전분기 대비 50조원 이상 줄어든 데는 고금리 등에 따른 신규대출의 감소와 기존 대출원금의 상환 등이 주효했다. 하지만 정부가 지난해 초 사실상 부동산 가격 급락을 막기위해 도입한 각종 규제완화와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금융이 부채를 다시 키웠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주택담보대출이 45조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올해도 부채잔액 절대규모가 감소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특히 정부가 저출산대책의 일환으로 27조원 규모로 시행하는 신생아특례대출이 변수다. 1%대 저금리로 금리수준이 절대 낮기 때문에 전액 소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문제는 올해 명목GDP 수준이 어느정도 늘어날지가 변수다. 정부(2.2%)와 한은(2.1%) 등이 전망하는 실질GDP 성장률과 물가상승률 등을 종합한 GDP디플레이터가 지난해보다 소폭 하락해 1% 안팎으로 예상하면 올해 명목GDP는 전년도 대비 3% 안팎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가계부채 비중이 수치상 얼마인지보다 실질적으로 부채를 줄여가면서 소득을 늘리는 거시경제정책에 주력해야 한다"면서 "높은 가계부채가 소비를 정체시키는 원인이어서 이를 해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국내 5대 금융지주사는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1.5%~2.0% 수준으로 관리하겠다고 금융당국에 보고했다. 정부가 가계대출을 경상성장률 범위 내에서 관리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가운데, 금융권이 여기에 적극 호응하는 모양새라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