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14
2024
간토지방에서 발생한 대지진 때 현지 조선인들을 대상으로 자행된 학살을 조명했다. 당시 일본 정부가 계엄령을 선포한 가운데 조선인들이 우물에 독을 풀거나 방화했다는 유언비어가 퍼져 집단적 분노의 표적이 되면서 무참히 학살당했다. 조선인 희생자는 6000명이 훌쩍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일본 학계와 시민사회에선 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의 역사적 사실을 인정하고
06.26
의식을 고취하는 유인물을 배포하고, 민족차별철폐를 요구하며 동맹휴학에도 관여했다. 1932년에는 여수고무공장, 항만운수 등의 동맹파업에 관여하다 체포돼 1936년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그는 고문후유증으로 해방 이후 별다른 활동을 하지 못했지만 여순사태 당시 반란군이 여순을 점령한 후 인민위원에 이름을 올렸다. 일주일 뒤 계엄군이 여수를 탈환한 이후
5·18민주화운동 전후 내려진 계엄포고 위반 등으로 처벌받은 해직 언론인 등이 5·18 정신적 손해배상 소송에서 승소했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방법원 민사11단독 한종환 부장판사는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5명이 국가(대한민국)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각 원고에게 1000만~5000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
06.25
성과와 과제, 국가에 대한 권고 등을 발표했다. 조사위는 2019년 12월 26일 출범해 지난해 말까지 조사활동을 펼쳤다. 이후 대정부 권고사항을 포함한 종합보고서에 착수했으며, 최근에는 범죄혐의가 드러난 당시 계엄군에 대해 대검찰청에 고발했다. 관심을 끌었던 헬기 사격과 관련해 UH-1H헬기의 전일빌딩 사격이 충분히 인정된다고 밝혔고, 500MD
06.13
있다. 이번에 고발된 인원은 5.18 당시 계엄군의 전남도청 진입 과정에서 7명의 민간인 희생에 개입한 지휘부 6명, 광주 송암동과 주남마을 일대에서 민간인 16명을 살해한 사건에 연루된 계엄군 9명 등이다. 조사위는 1980년 5월 27일 전남도청에 있던 시민군을 무력진입한 정호용 당시 특전사령관, 최세창 3공수여단장, 신우식 7공수여단장, 최웅 11공수여단장
06.03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양민학살 계엄군 9명과 내란목적살인행위자 4명 등 13명에 대해 추가 고발을 결정했다. 그동안 반대 의견이 일부 있어 논의를 이어갔지만 조사위는 표결을 통해 의결했다. 3일 진상조사위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128차 전원위원회를 열고 정호용 전 특전사령관 등 4명에 대해 내란목적살인죄를, 민간인 학살 계염군 9명에
05.29
종료된 젤렌스키 대통령의 적법성에 대한 문제를 지속해서 제기하고 있다. 러시아는 ‘적법한’ 우크라이나 지도자들과만 협상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우크라이나는 지난 3월 대통령 선거를 치렀어야 했지만, 러시아의 ‘특별군사작전’으로 계엄령이 발령됐다는 이유로 헌법을 근거로 대선을 취소했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05.21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민간인 집단살해에 연루된 계엄군에 대한 고발을 미뤘다. 21일 조사위에 따르면 전날 오후 2시부터 열린 조사위 전원위원회에서 계엄군 고발에 대한 합의를 하지 못했다. 전원위는 애초 국민참여 방청으로 열렸지만 계엄군 고발과 관련한 ‘반인도적 범죄행위 고발안’은 비공개로 진행됐다. 조사위는 5.18 당시
05.20
27일 계엄군의 광주재진입작전 과정에서 윤상원 등 저항시민 18명을 살해한 혐의였다. 하지만 진상조사위가 추가로 살해된 7명을 확인했다. 추가 살해된 사실이 드러나면서 별도 범죄로 처벌이 가능하단 이야기다. 다만 전두환씨 등 사망한 이들에게는 공소권이 없다. 이에 생존한 정씨와 광주진압 핵심인 최세창씨 등에 대해 기소가 가능하다는 게 조사위 입장이다. 송
05.18
기념공연은 광주의 오월을 지켜낸 학생 희생자인 류동운·박금희 열사를 전남대학교 학생 대표들이 소개하는 내용으로 꾸며졌다. 1980년 당시 한신대 2학년이었던 류 열사는 아버지의 만류에도 도청에서 마지막까지 저항하다 숨졌다. 또 춘태여상 3학년이었던 박 열사는 부상자를 위해 헌혈한 후 귀가하다 계엄군 총격에 사망했다. 이들의 출신학교 후배들이 객석에 있는 유족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