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13
2024
대한의사협회가 15일 의대증원에 반대하는 전국 단위의 집단행동을 예고한 가운데 전공의들이 또 응급·중환자실을 비울지 우려된다. 전공의들은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시기 당시 정부의 의대증원 추진을 반대해 응급·중환자실을 비운 전력이 있다. 환자의 생명을 지키고 돌봐야 하는 의사들의 비윤리적 불법 행위가 반복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의견이 확산되고
의사단체가 정부의 의대증원 정책에 반대해 집단행동을 예고한 가운데 의대정원을 확대한다고 파업하는 나라는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의대증원은 3분 진료에 적정의료를 받지 못하는 국민과 의사부족으로 번아웃 당하는 의사에게도 도움되는 정책”이라며 “의사단체는 집단행동 계획을 멈추고 늘어난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와 공공의료로
02.08
정부의 의대증원 발표에서 지역인재 전형을 60% 이상으로 제시되면서 지역의사 확보가 일부 개선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8일 교육계에 따르면 지역 거점 국립대인 A의대의 경우 2023년 졸업생 취역지역을 보면 71%가 의대 소재권역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의대 졸업자들의 수도권 먹튀가 논란이 되는 가운데 이렇게 지역인재 전형자들이 해당
지역인재 의대생이 졸업 후 지역에서 머물면서 계속 활동(정주)하는 비율이 일반전형 출신보다 20%p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보건복지부가 6일 내년 의과대학 증원을 비수도권에 집중 배정하고 지역인재 선발을 60% 이상으로 제시해 앞으로 의대 졸업 후 지역에 정주하는 의사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계에 따르면 지방 국립대 A의대의 지난해 졸업생
02.07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정부의 2025년 의대정원 확대를 일제히 환영하고 나섰다. 비수도권 지자체들은 이번 의대정원 확대가 실질적인 지역·필수 의료 강화로 이어져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7일 전국 지자체 입장을 종합하면 환영 일색이다. 비수도권은 물론 서울 중심의 의료체계에서 소외됐던 수도권 일부 지역까지 지역의료 붕괴를 막을 수 있는 계기를
6일 보건복지부가 2025년부터 5년간 매년 2000명씩 의대정원을 추가 모집한다고 밝힌 가운데 후속 조치를 강력하게 추진해 지역필수의료체계를 만들야 한다는 의견이 쏟아진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는 6일 정부의 내년도 의대 정원 2000명 확대 발표를 환영했다. 3058명으로 묶여 있던 의대 정원을 19년 만에 증원함으로써 붕괴 위기의 지역필수의료
앵커기업과 잇따라 투자협약을 체결하고 있는데 하버드 의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 의공학·나노메디슨연구소와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 MIT 교수진과 1000여개의 스타트업이 연계된 산·학 연계프로그램 ILP(Industrial Liason Program)에서 영감을 얻어 전북 공공연구소와 지역대학 교수진을 그룹화해 전북 기업·이전기업 등과 묶는 작업을
의대정원이 2025년부터 5년간 매년 2000명씩 모두 1만명 추가로 늘어난다. 2006년부터 매년 350명씩 감축된 지 19년 만이다. 국민의 높은 ‘증원 찬성’ 속에 지역필수의료 강화 등 의료혁신 목표를 향해 이제 출발하게 됐다. 하지만 넘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다. 지역완결의료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증원된 의사들이 비수도권에서 장기 활동할 수 있는
단적으로 판단할 순 없다. 그러나 경쟁률을 통해 그해 대입의 흐름, 학생들의 지원 패턴, 대입 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2024 경쟁률로 수시·정시 강세 학과를 짚어봤다. 의대 열풍이 식을 줄 모른다. 그러나 종로학원의 전국 39개 의대와 11개 치대, 한의대, 10개 수의대 수시 경쟁률 분석에 따르면 의대 경쟁률은 31.08:1(2023학년 34.03:1
02.06
대부분이 생계업종 관련 행정제재 감면 대상이다. 윤 대통령은 “앞으로도 정부는 민생경제 분야에서 일상적인 경제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조치들을 계속 추진해 나가겠다”며 “명절을 앞두고 실시되는 이번 사면으로 민생경제에 활력이 더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보건복지부의 의대정원 확대계획 발표 예정 사실을 언급하고 “국민의 건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