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도 떨어지는 PP(폴리프로필렌), 재활용 걸림돌
업계 "재활용 못하고 쓰레기로"
환경부 "관련 대책 마련하겠다"
"순도가 떨어지는 폴리프로필렌(PP) 때문에 골치에요. 이렇게 PP함량이 적은 것들은 아예 복합재질로 분류를 해야죠. 정부가 재활용비율을 높이겠다고 백날 얘기해봤자 현장이 이런데 되겠어요." 한 재활용업체 A대표의 말이다. 정부가 2050 탈플라스틱 사회 선언을 했지만 정작 재활용현장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재활용이 쉽도록 PP 등 재질 표준화를 하겠다고 지난해 발표했지만 현장의 체감도는 떨어진다.
PP를 재활용할 때 세척 공정에서 비중 분리를 통해 타재질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쉽게 말하면 잘게 자른 PP조각들을 물에 띄우면 순도가 맞지 않는 것들은 가라앉는다. PP 비중은 0.90~0.92로 가장 낮아서 물에 뜨고 다른 재질은 가라앉는다. 잔재물들의 경우 재활용할 수 없는 쓰레기로 분류돼 처리한다.
재활용업체 대표 B씨는 "PP재활용재료를 사오면 30%는 쓰레기로 빠져나간다고 보면 된다"며 "잔재물들을 가져가는 곳도 많지 않고 쓰레기처리 비용도 올라서 3중고"라고 말했다. 재활용업체 대표 C씨는 "최근 코로나19로 배달음식이 증가하면서 저급의 PP들이 더 많이 들어오고 있다"며 "자체적으로 식품용기류들을 제조해서 음식점에 납품하는 곳들이 있는데, 이들 PP재질의 제품들은 대부분 함량이 떨어져 복합재질로 구분해야 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또 "재활용한 양 100% 중에서 45%밖에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지원금을 받지 못하는데, 나머지는 EPR 비대상 품목이라는 소리"라며 "EPR 비제도권 제품들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EPR이란 제품 생산자나 포장재를 이용한 제품 생산자에게 그 제품이나 포장재의 폐기물에 대해 일정량의 재활용의무를 부여해 재활용하게 하는 제도다. 만약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재활용에 소요되는 비용 이상의 재활용 부과금을 생산자에게 부과한다. 생산자들은 본인이 직접 재활용을 할 수 없으니 분담금을 내 재활용업체들이 대신 하도록 지원금을 주는 형태로 운영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EPR대상이 아닌 품목은 재활용 관련 표시 등이 없다"며 "이러한 표기가 없는 것들은 분리배출하지 않도록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어느 정도까지를 순도가 높은 PP로 판단할 것인지 고민을 해서 복합재질로 표시를 하도록 할지 여부 등을 검토해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안 쓰고 되살림 - 탈플라스틱] 페트병 재활용한 식품용기 나오나
▶ 물휴지도 플라스틱 … 손수건이면 충분해요
▶ 비닐봉지 사용 첫 금지국은 '방글라데시'
▶ [알아두면 좋은 생활 밀착형 서비스] "헷갈리는 분리배출 손안에서 해결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