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대 사회적인프라에 주목

폭염 위험 대응위해 지역네트워크 강화

2022-07-04 11:27:29 게재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술 개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획기적인 기술 발전으로 인한 사회 원자화 현상은 오히려 기후위기 위험을 키울 수 있다. 갈수록 심화되는 폭염에서 우리가 살아남을 방법은 사회적 인프라의 힘에 있다는 지적이다.

서울의 한 쪽방촌. 사진 이의종


4일 에릭 클라이넨버그의 '폭염사회'에 따르면 폭염으로 인한 사망 등 각종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 네트워크 활성화가 중요했다. 1995년 7월 미국 시카고시에서 41℃까지 올라가는 폭염이 1주일간 지속된 적이 있었다. 기록적인 폭염으로 700여명이 사망하는 기후재난이 미국을 강타했다.

특이한 점은 길 하나를 사이를 둔 지역 간에 사망자 수가 크게 달랐다는 점이다. 미국 시카고시의 노스론데일에서는 폭염으로 19명이 사망했다. 하지만 바로 인접 지역인 사우스론데일(리틀빌리지)에서는 1/10에 불과한 사망자 수를 기록했다. 에릭 클라이넨버그는 네트워크의 힘을 그 이유로 분석했다.

노스론데일과 리틀빌리지 두 지역은 모두 빈곤 수준이 높다. 또한 독거노인 수나 빈곤층 노인 비율이 비슷했다. 차이가 있다면 커뮤니티의 유무였다. 지역공동체가 파괴된 노스론데일 주민들은 거리의 위험 때문에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방에서 폭염을 견뎌내야 했다. 반면 리틀빌리지 주민들은 이웃과 교류하며 살인적인 더위를 이겨낼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에게 여러 시사점을 제시한다. 기상청 '한국 기후변화평가보고서 2020'에 따르면 21세기말 폭염 강도 빈도는 모두 증가할 전망이다. 1979~2005년 대비 21세기 후반 미래(2075~2099년)에 폭염발생빈도지수는 약 52.5일 늘어난다고 예측됐다. 또한 폭염지속기간 지수는 약 44.5일, 폭염 강도지수는 약 2.2℃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됐을 때인 RCP 4.5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추정치다. 이처럼 갈수록 증가하는 폭염에 대응하기 위해서 지역네트워크 강화는 현실적인 대책이 될 수 있다.

[관련기사]
[폭염과 그린인프라] 제각각 그린인프라 제도, 통합 관리 시스템 필요
폭염대비 그린인프라 확대 시급
폭염속 첫 온열질환 사망자 발생
전국 대부분 폭염특보 … 곳곳에 소나기
숲은 바람길일까? 바람을 막을까?
탈탄소 넘어 새 화두 '기후탄력성'

김아영 기자 aykim@naeil.com
김아영 기자 기사 더보기